폴리에스터 섬유는 들어봤어도 PET로 옷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는데..?
1. PET의 등장
위 질문에 대한 답은 잠시 뒤에서 다루도록 하고요,
앞 기사에서 듀폰이 PET를 제품화시키는 선두주자였다는 이야기를 했었죠?
그렇다면, 이미 나일론으로 큰 성공을 거둔
듀폰을 매료시킨 PET만의 장점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요?
듀폰은 PET의 미국 사용권을 사들여, 미국에서 Dacron®이라는 상표로 등록합니다.
1970년대 한국에서 다크론 솜이 유명했는데, 바로 그 브랜드입니다.
그리고, 듀폰은 센세이셔널한 PET혼방슈트를 출시하게 되죠.
“다크론”을 입는 것의 차이
…..남성복은 점점 더 간단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크론™은 전혀 새로운 형태로 그 단순함을 더해줍니다.
“다크론”은 꼬임 실을 가능하게 하여 의류에 이전에는 없던
실용적인 기능을 부여하고… 오늘날 의류의 관리에 필요한
노력을 거의 없애줍니다.
실의 특성과 구조 자체가 일반 직물에 흔한
주름을 방지합니다. 다크론의 탄성과 복원력은
의류에 긴장감을 주고, 늘어나거나 변형되는 것을
덜 일어나게 만듭니다. 이 새로운 실 구조는
강한 세탁에도 견딜 수 있고, 더 긴 수명을 제공합니다…..
위 기사는 듀폰에서 처음 다크론슈트를 출시했을 때의 광고입니다.
딱 3줄로 요약하면, PET의 특성이 그대로 나타납니다.
-
세탁이 쉽다 (wash-and-wear)
-
형태 유지력(치수 안정성)이 뛰어나다
-
내구성이 좋아 오래 입을 수 있다
나일론66에 비해 흡습성이 10분의1에 불과하다는 것,
물을 잘 흡수하지 않아 건조도 빠르고 형태변화도 별로 일어나지 않죠.
세탁, 탈수 후에 형태변화가 거의 없어 주름이 생기질 않아요.
내열성도 높아서, 건조기를 사용에도 편리한 장점이 있어요.
2. 가볍고 내구성 뛰어난 소재
듀폰은 Dacron(다크론)이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세탁·드라이클리닝에 강하다는 점을 어필했어요.
이는 Nylon 66과 비교할 때 경량성과 유지 관리 편의성에서 우위를 보여주는 포인트였지요.
이렇게 듀폰은 나일론66에 이어 PET시장도 주도합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PET의 기본 특장점은 저흡습성과 형상 안정성이에요.
3. 나일론과의 구조 차이
여기서 잠시 용어에 대해 정리할까요?
나일론이 화학식에서 나온 용어가 아닌, 제품명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은 나일론편에서 이야기 했어요.
그래서 폴리아미드(PA)라는 화학적 이름이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지요.
그럼, PET는 무엇일까요?
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라고 해요.
그런데 우리는 흔히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폴리에스테르라고 합니다.
뜬금없이 폴리에틸렌도 아니고, 폴리에스터(Polyester)는 어디에서 나온 말일까요?
실은 폴리에스터가 더 큰 개념이랍니다.
나일론이 아마이드 결합을 한 폴리아미드였듯이,
PET는 에스터(에스테르) 결합을 한 섬유의 한 종류입니다.
말하자면, 에스터결합을 한 모든 합성섬유를 폴리에스터라고 하는 거에요.
그중에 하나가 PET이며, 후에 등장할 PBT도 폴리에스터의 한 종류인 것이죠.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들어봤어도 PET로 옷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든데..?”
이제 이 글의 처음에 소개한 위의 의문점이 해결되었죠?
주로 옷감등을 말할 때는 폴리에스터, 그리고 플라스틱쪽을 말할 때는 PET라고 많이 사용한다네요.
에스터 결합(–CO–O–)은 아마이드 결합(–CO–NH–)과는 달리,
물과의 수소결합이 적어 흡습성이 매우 낮다고 합니다.
대신 나일론보다 유연성·복원력은 떨어지고 강성은 높지요 .
이 성질로 인해, PET병에 힘을 강하게 가하면, 깨지고 찟어지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에요.
4. 브러쉬 모재료로서의 장점
형상 안정성: 물에 젖거나 건조해도 휨·변형이 적음. 복원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그만큼 형상이 변화하지 않는 성질이 있다는 거죠.
위생성: 낮은 흡습성 → 물을 흡수하지 않는 것은 습한 곳에 서식하는 세균·곰팡이 번식 억제에 이어집니다.
강모 성질: 강도가 높으므로, 이물질 제거에 효과를 발휘합니다.
내화학성: 화학물질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식품·음료·위생 산업에서 세정액·세제에 잘 견딜 수가 있어요.
5. 한계점
PET가 모든 면에서 좋을 수는 없죠?
나일론 대비 복원력·인성은 떨어져 반복적으로 휘게 되면 원형으로 복원되지 않아요.
저온 환경(영하)에서는 취약성이 나타날 수 있어요. 심하면 깨져버리죠.
6. 주요 적용 사례
-
병 세척 브러쉬 (음료·식품 라인)
-
식품·위생 설비 청소 브러쉬
-
일반 청소용 브러쉬 (변형·마모 저항 필요 시)
-
일부 산업용 스크러버 브러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