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암호명: SIC-#120-Ø1.10-N6

이것을 한번에 읽고 내용을 아신 분은 모재료의 프로겠죠?

자,  이 컬럼을 끝까지 읽으시면 위의 암호가 풀립니다.

“이것은 800방 정도로 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야 스크레치가 나지 않을 텐데..”

처음에 이게 무슨 말인가 했죠?

800방?

여러분은 아시나요? 저 방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실은 이 표현은 일본식 발음이 그대로 쓰인 것이랍니다.

즉 800번을 일본에서는 800방이라고 읽는다고 해요.

 

오늘은 연마사이야기입니다.

 

연마사는 연금술사 처럼 사람을 뜻하는 것은 아니고,  연마재로 쓰이는 모래라고 해서 모래사자를 씁니다.

우리 흔히 사포라고 하잖아요. 그 모래 “사” 자입니다.

 

📦 연마사의 주요 재질 종류

분류 재료 특징 주요 용도
천연 연마사 석영 모래, 석류석(Garnet) 가격 저렴, 환경 친화 목재, 도장 제거, 연마
세라믹계 알루미나(Al₂O₃), 산화세륨(CeO₂) 경도 높음, 열 안정성 유리, 렌즈, 세라믹
탄화물계 실리콘 카바이드(SiC), 보론 카바이드(B₄C) 매우 강한 경도 금속 절삭, 정밀 연삭
금속계 철분, 구리분말 중량감 있음 샷피닝, 주조 전처리
플라스틱계 우레탄, 아크릴 표면 손상 적음 플라스틱 부품, 전자부품
유리구슬 소다석회 유리 균일한 입자, 비금속 부품에 적합 청소, 가볍게 연마

 

위와 같이 연마사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

아, 벌써 암호가 하나 풀렸네요?

SIC-#120-Ø1.10-N6

SIC가 바로 실리콘 카바이드를  나타냅니다.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금속 절삭이나 정밀 절삭에 많이 사용되네요.

 

그리고 #으로 시작되는 저 번호가 바로 입도를 뜻합니다.

이제 아시겠죠?

흔히 현장에서 120방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저 #번호에요.

그렇다면 입도는 무엇일까요?

입자의 크기정도, 즉 입자의 크기를 말합니다.

자, 키가 180이다 라고 하면 우리는 대략  알 수가 있는데, #120은 뭘까요?

놀랍게도, 채망의 구멍(?)갯수를 말한답니다.  구멍이라고 해도, 4각그물이지만요.

 

이 이야기는 미국쪽에서 시작되는 것인데요. 산업혁명이후 19세기 후반에 정해진 규격이라고 하네요.

https://store.astm.org/e0011-20.html

 

모래입자를  작은 채에 걸러서 통과시키는데,  그 채의 구멍(mesh)으로 걸러진 모래가루를 측정한 거에요.

그럼 구멍의 크기인가? 그렇지 않고요,

일정한 규격(1인치 X 1인치) 그물망에 몇개의 구멍(mesh)가 있는가를 가지고 크기를 나타낸거에요.

그리고 그 구멍의 갯수는 정사각형의 선형 갯수를 말해요. #120이라면 그물망 전체에 있는 구멍은 120X120인 것이죠.

그래서 정확히 말하면, 1인치*1인치의 그물망에 14400개의 구멍이 있고, 그 하나의 구멍을 통과하는 입자가 #120이랍니다.

 

1인치가 25.4mm니까 30센티자에서 엄지손가락 정도 작은 크기의 정사각형 그물망이라고 보면 되겠네요.

그 그물망의 구멍의 갯수가 120개라면 #120이라고 부른 것이죠.

그렇다면 퀴즈!!

#번호가 클 수록 입자는 커질까요? 작아질까요

재밌게도, 번호가 커진다는 것은 같은 넓이 안에  더 작은 구멍이 생긴다는 것이니까, 입자가 작은 거에요.

입자가 작다는 것은 더 부드럽다는 것이죠?

연마사에 따라서는 #1000정도의 입자도 있으니 얼마나 부드러운 지 짐작이 가시나요?

단순 계산으로 25.4mm안에 1000개의 구멍이 나열되야 하니까,

한 구멍의 크기는  가로,세로 길이 25.4μm(마이크로미터), 즉 0.0254mm인 거에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것보다 더 작답니다.

이유는 실제로 철사로 그물을 만들어서 그곳을 통과시키기 때문이에요.

철사1000개가 가로세로 25.4센티미터의 공간에 걸려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아무리 얇아도 구멍의 크기는 줄어들 수 밖에 없겠죠?

그래서 실제로는 평균 13μm에서 18μm정도의 크기라고 합니다. 천분의 13미리미터니까 정말 작은 크기네요.

SIC#120-Ø1.10-N6

 

연마사를 브러쉬재료로 사용할 때는 모래만 다닥다닥 본드로 붙여서 쓰지 않겠죠?

브러쉬 모에 연마사를 붙여서 사용합니다. 그냥 우리는 그것을 다 포함한 브러쉬 모를 연마사라고 하죠.

브러쉬 모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가 바로 모재료의 굵기죠? 그 직경이 1.10mm라는 것이  Ø1.10의 의미입니다.

자, 마지막으로 N6은 모재료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일론6을 뜻합니다. 그냥 나일론하고의 차이는 차후에 컬럼에 올릴게요.

SIC-#120-Ø1.10-N6

 

https://abrapress.com/en/abrasive-management-and-preparation/complementary-equipment-and-moulds/vibrating-sieve

채망을 진동시켜 연마사를 걸러내는 기계네요.

 

 

 

 

 

 

 

 

https://shop-it.wabrasives.com/en/full-sieving-kit

아래의 용기는 각각 구멍이 다른 용기입니다. 위에서 부터 굵은 입자를 걸러내고

아래로 가장 부드러운 입자가 떨어지며 분류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