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스밴드는 금관악대! 그럼 브라스의 의미는 금관악기?
브론즈가 갈색을 의미한다면, 브라스는 황금색, 노란색계통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노란 구리, 황동이지요.
순동(Copper/Fure Copper) 이 구리(Cu)로만 이루어 졌다면, 청동(Bronze) 은 구리(Cu)와 주석(Sn)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그리고, 황동은 구리(Cu)와 아연(Zn)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으로, 브라스밴드의 브라스가 바로 황동입니다. 그 멋진 금관악대의 본 뜻이 황동밴드였다니 의외네요.:)
브라스밴드는 금관악기만으로 구성되어 있지요. 악기들의 대부분이 황동(브라스, Bras)으로 만들어 져 있어요.
—————————————————————————————-
여기서 잠깐 이름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우리나라에서는 Brass, 즉 구리와 아연으로 조성된 합금은 황동이라고 합니다. 그럼 신주? 신쮸? 이것은 뭘까요?
1. 황동(黃銅)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brass = 구리+아연 합금을 가리키는 표준어입니다.
금속재료학, KS(한국산업표준)에서도 널리 쓰이는 용어지요. 예: KS D 5101 황동 봉
2. 신주(新鑄)
역시 brass를 가리키는 전통적 명칭으로, 사전에도 등록된 표준어이고, 금속공업 현장에서도 사용됩니다.
어원적으로는 “새로 부어 만든 쇠”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고 해요.
차이는 “황동”은 문자 그대로 금속의 색깔을 강조한 표현, “신주”는 전통적 명칭인 것이죠.
신쮸?는 무엇일까요.
현장에서 황동을 종종 신쮸라고도 하는데 신주를 강하게 읽은 것일까요?
신쮸가 황동을 나타내는 말이기는 한데, 신주를 잘 못 발음한 것은 아닙니다.
신쮸(真鍮)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황동의 다른 명칭인 것이죠.
우리가 쓰는 신주(新鑄)와는 관계없는 다른 한자의 일본어인 것이죠.
오도(黄銅、おうどう)라는 정식명칭이 있지만,
참 진, 놋쇠 주를 쓴 신쮸(真鍮、しんちゅう)라는 말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질좋은 놋쇠”의 의미로 황동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청동에 비하여 황동은 훨씬 뒤에 조성됩니다.
자연속에서 우연히 획득한 것은 오래되었으나 본격적으로 생산해 낸 것은 청동보다 2000~3000년이나 시간이 지난 후였습니다.
황동의 물성
그렇다면, 황동의 물성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1. 기본 조성은
구리(Cu) , 아연(Zn) 합금입니다. 아연의 비율은 보통 5~40% 범위입니다. 아연 비율에 따라 연성·색상·기계적 성질이 달라집니다.
2. 기계적 성질
융점은 약 900–940 °C 로 구리보다 낮고,경도는 브리넬 경도 55–110 HB 로 청동보다 부드럽고 구리보다는 단단하기에 절삭, 압연, 인발, 프레스 등 다양한 가공이 가능합니다.
3. 물리적 특성
전기 전도도는 구리의 약 25–30% 수준 → 순수 전기재료로는 부적합합니다.
열전도도는 구리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좋은 편입니다.
비철금속계통으로 자성이 거의 없는 비자성입니다.
4. 화학적 성질로는
대기 중에서 산화피막(황동녹, 금속광택 소실) 형성하므로, 어느 정도 내식성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특정 조건(습기+암모니아)에서는 부식 균열이 발생 가능하고, 해수에는 취약합니다.
5. 색·외관으로 보면
황금색~적갈색 계열인데, 아연의 함량이 높아지면 색이 연해지고 옐로 톤이 강해집니다.
그런 연고로, 장식재·악기재·장신구에 많이 쓰이게 된 거죠.
결론적으로 보면,
황동은 구리의 미려함과 아연으로 강화된 강도와 가공성을 가진 합금입니다.
전도성·내식성은 구리나 청동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저렴하고 가공이 쉬워 건축, 장식, 악기, 기계 부품 등에서 많이 쓰입니다.
<구리의 물성에 따른 브러쉬 솔 비교>
그럼 순동,청동,황동이 브러쉬 모재료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구리선 브러쉬 (Copper wire brush)
- 특징: 순수 구리라서 부드럽고, 전도성이 매우 높음.
- 장점: 표면 손상 거의 없음 (연마력 약함)
- 전기적 전도성이 필요할 때 유리 → 정전기 제거, 도전성 유지 작업
- 단점: 연성이 커서 쉽게 마모 → 내구성 떨어짐
- 용도: 전자부품, 회로 기판, 폭발 위험 있는 장소(스파크 억제) 청소
청동선 브러쉬 (Bronze wire brush)
- 특징: 구리+주석 합금. 황동보다 강도와 내마모성이 높음.
- 장점: 구리보다 단단해서 마모가 덜함. 철 표면 녹 제거 가능하면서도 스틸보다 부드러워서 스크래치 적음.
- 비스파크성 → 인화성 환경에 적합
- 단점: 소재 단가가 스틸·황동보다 높음
- 용도: 조선·플랜트 등에서 폭발 위험 있는 장소, 페인트·녹 제거, 금속 표면 다듬기
황동선 브러쉬 (Brass wire brush, 신주 브러쉬)
- 특징: 구리+아연 합금. 청동보다 약간 부드럽지만 가공성·경제성이 뛰어남.
- 장점: 스틸보다는 부드럽고, 구리보다는 단단하고 가격 경쟁력 있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됨.
- 용도: 목재 가공, 도장 전 표면 처리, 알루미늄·비철금속 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