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발명왕 에디슨이 PBT의 탄생과 관계가 있다?

 

폴아미드(PA66) 나일론이 출시되고, 폴리에스터 PET가 코카콜라, 펩시콜라 병을 대체하는 등 합성수지의 놀라운 발전은 계속 됩니다.
수많은 회사가 합성수지제품 개발에 사운을 걸 때, 1953년 화학자 Daniel W. Fox 박사가 한 연구실에서 우연히 투명하고 단단한 합성수지를 제조합니다.
아크릴의 10배, 유리보다 200배나 강한 플라스틱,  깨지지 않는 꿈의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PC)가 탄생한 것이죠.
그렇게 PC는 에디슨이 1892년에 설립한 바로 제너럴일렉트릭(GE)그룹 연구실에서 탄생한 것입니다.
제너럴일레트틱은 이 신소재를 위해  GE플라스틱스이라는 자회사를 만들고 제품을 출시합니다.
(이후 GE플라스틱스는 2007년 사우디아라비아 국영기업인 SABIC에서 인수하게 됩니다)
방탄유리로도 사용되는 PC는 금속을 대신할 수 있는 제조산업의 혁신적인 플라스틱으로 각광을 받게 되었죠.
단번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대표 주자가 된 것입니다.

Lexan® Polycarbonate, 렉산® 폴리카보네이트

(위 사진은 당시 GE플라스틱스가 PC를 LEXAN의 상표로 출시했을 때, 사용된 광고 영상 스틸컷입니다. BULL IN THE LEXAN이라는 카피로 유명한 영상이었는데, 성난 황소가 날뛰어도 PC로 만들어진 강력한 LEXAN제품은 전혀 부서지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죠.)

참고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이란?
일반 범용 플라스틱보다 기계적·열적 성능이 훨씬 뛰어나서, 금속이나 유리를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말합니다.
  • 범용 플라스틱: PE, PP, PVC, PS 같은 것들 → 값싸고 가볍지만 강도·내열성은 낮음.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나일론(PA), 폴리카보네이트(PC), PBT, PET, POM 등 → 높은 강도, 내열성, 치수 안정성이 특징.

이토록 강력한 합성수지를 개발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선두주자가 된  GE플라스틱스도  고민이 생겼습니다.
자동차산업이 눈부시게 발전함에 따라, 플라스틱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는데 중요한 전장부품(전기,전자장치)의 소형화와 고온화라는 난제가 떠오른 것이죠.
그때 셀라니즈(Celenese)사가 1969년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개발하게 되고 ,
GE플라스틱스는 신 합성수지 PBT에 유리섬유 보강재를 넣은 플라스틱(GF-PBT)이 고온에서 변형이 거의 없는 것을 주목하였습니다.
곧, PBT는 GE에 의해 자동차 커넥터, ECU하우징, 퓨즈박스등에 전장부품에 채택되어 자동차의 주력부품으로 자리를 잡습니다.
최초개발사 셀라니즈는 기술메뉴얼에서 PBT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PBT became a key engineering polyester for under-the-hood electrical components due to its low moisture absorption, dimensional stability, and resistance to automotive fluids.”
(supported by Celanese tech manual and historical notes)
“PBT는 낮은 흡습·치수안정성·자동차 유체 내화학성 덕분에, 엔진룸 전장부품의 핵심 폴리에스터로 자리 잡았다.”

정리하자면, PBT는 자동차 엔진룸의 전장재(전기,전자장치)에 특장점을 발휘하므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큰 축을 담당하게 된 것입니다.

Leave a Reply